도배 공사를 하기위한 중요한 포인트 4가지 꼭 챙겨가세요.

동내 부동산에 가면 아 그 집 도배장판이 잘되어 있어요 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고는 합니다. 우리가 이사를 가거나 분위기를 변경할 때 주로 하는 인테리어의 한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도배공사 자재를 선택하는 방법부터 시공 및 하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도배 시공을 위한 중점 포인트

  • 자재의 특성 알기
  • 시공 순서확인하기
  • 시공 포인트 챙기기
  • 도배하자 알아보기

자재 특성 알기

도배 자재는 초배지와 정배지도 나누어 집니다. 초배지의 경우에는 부자재에 속해서 생소해 보일 수 있습니다.

1) 초배지는 도배를 하기전에 바탕에 시공되는 도배지를 뜻하며, 보통 일반 초배지, 부지포, 운용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석고보드 조인트 면에 사용하는 네바리 (보수초배지)가 있습니다.

2) 정배지는 우리가 알고 있는 합지(종이벽지), 실크벽지, 발포벽지, 친환경소재벽지를 말하며, 마감이 되는 벽지입니다.

2-1) 합지벽지: 종이를 2장 붙여서 만든 벽지이며, 최근 아파트나 주거공간에서는 주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2-2) 실크벽지: 종이 위에 pvc재질(비닐) 코팅 처리한 벽지입니다. 가벼운 오염은 쉽게 지워집니다. 종이 벽지에 비해서 오염 및 내구성이 강해 유지관리하기가 다른 벽지들에 비해 좋습니다. 또한 방염 처리된 벽지도 있습니다. 단 비용이 일반 실크보다는 비용이 많이 나갑니다.

2-3) 발포벽지: 실크벽지와 비슷 하지만 코팅이 발포 처리되어 있는 벽지입니다. (오염에 약해 최근에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2-4) 친환경자연소재: PVC 코팅이 아닌 옥수수, 규조토의 친환경 원료를 코팅으로 사용하는 벽지를 말합니다.

벽지에 큰 특징은 알아봤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실크벽지를 추천을 합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유지관리도 좋기에 추천을 드리며, 많이 사용하는데 에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도배 시공순서는 어떻게 되는지?

도배의 시공 순서는 기존 벽지가 많이 있다면, 기존 벽지 철거, 바탕면 정리, 초배지 시공, 정배지 시공, 양생 순으로 진행이 됩니다.

가끔 천정시공 후 벽을 할지, 아니면 천정을 하고 벽을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현장 상황에 맞추어 하시면 됩니다. 다만 천정부터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유는 천정 작업을 하면서 벽체에 풀이 좀 과다하게 붙는 경우가 있어서 추후 도배 풀 닦을 때 힘듭니다.

도배 시공포인트 포인트 챙겨가기

1) 도배지 시공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바탕면 정리입니다. 도배지 종이로 되어 있어 바탕면의 요철이 다 들어 납니다.

합지의 경우에는 도배지 전체에 풀을 발라 시공을 하므로, 전체면적에 요철이 잘 보여집니다.

실크벽지의 경우에는 봉투바름 시공을 하므로 풀을 바르는 면에 요철이 정리가 안되면 도드라지게 보이게 됩니다.

2) 도배지 컷팅부위 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도배를 잘 붙이고 마지막 컷팅을 잘 못하면 이것 보다 보기싫은게 없습니다. 보통의 도배하지는 분들은 잘하시지만, 가끔 마이너스몰딩(T몰딩)을 사용하는 곳에서 경험 부족으로 망치는 경우가 간혹 있으니 신경을 쓰시면 됩니다.

3) 시공 완료 후 청소 및 양생을 철저히 관리

도배 공사를 마무리 할때 벽 및 천정에 있는 도배 풀을 잘 제거하셔야 합니다. 일에 마무리를 깔끔하게 하고 가시는 분들이 진정한 기술자입니다. 도배풀 청소가 잘 안되면 두고두고 도배풀이 나오니 청소가 잘 되어 있는지 확인은 필수입니다.

또한 양생시에는 공간 내부에 있는 방문을 열어 놓고 공기가 순환을 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다만 중요한 포인트는 급하게 양생하려 하면 문제가 발생됩니다. 2가지 예를 보겠습니다.

외부와 통하는 창문을 너무 많이 열면 바람의 영향으로 도배지 풀이 급하게 마르면서 도배지가 터지는 현상이 발생 우려 증가

난방을 강하게 틀어 놓는 경우에도 급하게 마르면서 도배지 터짐 현상 발생 우려 증가

이거 권고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입니다. 꼭 지키시기 바랍니다.

도배하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도배지의 하자는 오염, 꼬임, 찢김이 있습니다.

오염의 경우에는 시공 이후 사용을 하다가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도배 유색반점 현상이 있습니다. 도배지에 점이 발생을 하는 현상입니다. 아직 석고보드의 문제인지 도배지 풀에 문제인지 정확히 확인은 안되었지만, 발생했을 시에는 보수 요청을 하셔야 합니다.

꼬임은 도배지 이음 부위 및 석고보드 조인트 면(네바리 시공 부위)에서 주로 발생을 합니다. 대부분 여름에 공간 내부에 습도가 많이 올라가면 더 많이 발생이 되며, 가을과 겨울에는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찢김은 사용상 찢어지는 경우도 발생이 되고, 양생을 급하게 했을 시에도 발생이 됩니다. 살짝 찢어졌을 때에는 딱풀을 이용해서 붙이시면 감 쪽 같이 보수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