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지 곰팡이 제거” 셀프 제거 vs 전문가 의뢰 확실한 기준잡기

평소에 바빠서 신경을 안쓰고 있다가 어느날 갑자기 벽지 곰팡이가 피어있는걸 발견하면 참 당황스럽습니다.

건강상 미관상에 상당히 문제를 발생시키는 곰팡이를 제거하려고 다양한 시도를 하실 텐데요. 다만 제거하기 전에 꼭 원인이 무엇이엇는지를 파악해야 셀프로 할지 아니면 사람을 불러서 할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벽지 곰팡이 제거를 셀프로 할지 아니면 전문가를 불러서 할지에 대한 기준을 확실히 알려드리며, 또한 집안을 벽지 곰팡이 없이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목차

  • 벽지 곰팡이 생긴 이유
  • 셀프보수 또는 전문가 섭외해야 하는 범위 알아보기
    • 구분 방법
    • 셀프로 보수하는 방법
  • 벽지 곰팡이 제거 후 집안을 쾌적하게 관리 방법

벽지 곰팡이 생기는 이유

벽지 곰팡이가 발생이 되었다면 크게 분류하면 결로 누수 하자 입니다. 이 외의 하자로 인해서는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결로인지 누수인지 판단하기가 사실 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결로인지 누수인지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셀프보수 또는 전문가 섭외 범위 알아보기

벽지 곰팡이 제거 셀프보수 할지 전문가 섭외할지 구분하는 방법

벽지 곰팡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곰팡이를 발생시킨 원인을 해결해야 합니다. 만일 누수로 인해서 곰팡이가 발생되었다고 하면 무조건 전문가를 불러 누수보수를 한뒤에 도배지를 교체하면 제일 좋은방법일 것이며, 만일 결로로 인해서 표면에만 발생이 되었다면 집안의 환기를 충분히 하고 곰팡이 제거를 통한 보수를 하면됩니다. 아래 표를 통해서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구분결로누수
셀프보수표면에 발생한 곰팡이는 곰팡이제거제 제거누수의 범위가 좁고 누수 원인이 정확히 해결된 경우
전문가보수단열재 문제로 인해서 속부터 곰팡이가 발생된 경우누수의 경우는 대부분 전문가를 불러서 해결해야함
결로 및 누수일때 셀프 및 전문가 보수 구분 방법

벽지 곰팡이 제거 (결로 현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사진)
결로 현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사진

누수로인한 곰팡이 발생 사진


벽지 곰팡이 제거 셀프로 하는방법

벽지 곰팡이 제거 준비물

커터칼, 30cm~50cm자, 곰팡이제거제, 딱풀 또는 풀, 실리콘

벽지 곰팡이 제거 순서

1.곰팡이 부위를 커터칼로 ㄴ 자로 조시스럽게 잘라냅니다

2.바탕면에 곰팡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만일 석고보드 벽에 곰팡이가 있다고 하면 석고보드 종이도 살짝 찢어 보고 흰색이로된 석고가 멀쩡하다고 하며 석고보드 곰팡이 핀 곳에 곰팡이 제거제를 뿌리고 닦은 후 충분히 말려줍니다.

3.도배지를 딱풀 또는 풀 또는 실리콘을 펴바르고 도배지를 붙여 줍니다.

4.도배지에 있는 곰팡이를 제거하기 위한 곰팡이제거제를 뿌리도 닦아준다음 충분히 건조 시킵니다.




벽지 곰팡이 제거 후 집안을 쾌적하게 관리 방법

곰팡이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관심을 갖고 예방을 한다면 충분히 관리가 가능 하고 쾌적하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심을 가져야 하는 포인트 및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서 3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벽지 곰팡이 제거 (장마철 사진)
사진: UnsplashBrazil Topno 장마철 사진

여름, 장마철

여름에는 에어컨을 많이 사용을 하여 에어컨 응축수로 인한 누수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고, 장마철은 외부에서 누수발생 확률이 높은 시기 입니다. 비가 많이 올때에는 창문 주변을 한번씩 관심을 갖고 체크를 해야하며, 발코니 및 실외기실 주변 벽지 및 천정지를 체크를 하시기 바랍니다. 누수가 발생되고 바로 조치를 한다면 곰팡이 발생을 안시킬 수 있지만 모르고 시간이 지난다면 검게 변한 벽지를 볼 수 있습니다.

벽지 곰팡이 제거 (겨울철 습도조절이 필요한 시기) 눈 덮힌 산
겨울 습도 조절이 필요한

겨울,습도조절

겨울에는 단열재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결로가 발생되어 곰팡이가 발생합니다. 사실 이게 제일 무서운 곰팡이 입니다. 왜냐하면 안쪽에서 부터 서서히 번식해 가기 때문에 쉽게 찾기가 어렵고 발견되면 이미 안쪽은 검게 변해 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체크해야할 곳들이 있습니다. 창문 주변, 공간의 천정 모서리 부분, 외부와 접해있는 코너벽을 한번씩 겨울에는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겨울철 외부의 온도 및 습도가 낮아 집 내부의 온도를 올리고 가습기를 사용해서 습도를 올려서 사용합니다. 이때 온습도계를 하나 구매하셔서 집 내부 온도에 맞는 습도를 맞춰서 사용하시면 결로 및 곰팡이 없는 공간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 실내부 온도는 24도 이상 유지하실 때에는 상대습도는 40% 정도만 유지를 해주시는게 가장 쾌적하게 공간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