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셀프인테리어 내장공사 범위 및 견적 검토 방법 확인하세요.

전기 및 설비공사가 완료가 되면 이제 본격적인 인테리어의 시작입니다. 마감을 위한 바탕면을 만들고 원하는 구조로 벽체를 만드는 과정이 내장공사 및 목공사의 공사입니다. 그렇다면 중요한 공사인 내장 및 목공사에 대하서 시공 체크포인트 및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내장 및 목공사의 범위
  • 내장공사 인테리어 견적 검토 방법
    • 석고보드 산출 방법
    • 스터드 및 목재 산출 방법


내장 및 목공사의 범위

반셀프인테리어 진행시 내장 및 목공사의 범위에 대해서 고민이 있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내장 및 목공사 하시는 분들이 어느 범위까지 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열공사 벽체설치공사 천정설치공사들을 내부에서 진행하는 공사 중에서 바탕이 되는 공사들을 진행하게 되어 있습니다.
단열 공사도 내장공사에 포함이 되고 정말 중요한 공사입니다. 앞선 전기 및 설비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 부분은 기능을 담당을 하기에 철저한 공사 감독이 필요합니다.

벽체설치 및 천정 몰딩 공사는 당연히 내장 및 목공사의 몫입니다.
해당 공사의 범위는 설계 당시에 정해지게 됩니다. 시공의 경우에는 우리집 내부 구조를 바꾸는 공사라고 생각을 하시면 편합니다.


내장공사 인테리어 견적 검토 방법

반셀프인테리어를 하시는 분들의 고민이 인테리어 견적 검토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견적을 받았는데 이유 없이 비싼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가격이 적당한지 안한지에 대해서 검토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견적을 검토하는 방법에 가장 중요한 건 물량 산출입니다. 어떤 공사이건 물량 산출은 기본입니다. 내장공사의 경우 면적을 산출하는 방법을 알면 물량 산출은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물량 산출은 면적을 구하면 됩니다. 그럼 면적을 구했는데 석고보드는 얼마나 들어가야 하며, 그에 맞는 목재 또는 철제가 얼만큼 들어가는지 알아야 검토가 가능합니다.

석고보드 산출 방법

석고보드의 사이즈는 통상 900(가로) X 1,800(세로)입니다 그러면 면적의 경우 1.63m2이 됩니다. 그럼 석고보드가 부착되어야 하는 면적에 석고보드 한장 사이즈인 1.63m2 를 나눠 주시면 물량 확인을 하고 손실분(3~5%)를 보시면 됩니다.

위의 방법보다 더 정확히 하는 방법은 석고보드 나누기 도면 그리기 방법입니다. 아래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Ex) 벽체 길이가 3,000mm 높이는 2,300mm 벽체 입니다. (합지 구간이 아닌 stud 및 목상이 들어가는 부위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길이를 모눈종이 또는 auto cad 를 할 줄 아신다면 auto cad에서 3,000mm 치수를 그리고 거기에 나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길이의 경우 3장 하고 300mm 만큼 석고보드가 남습니다, 그렇다면 길이로서 필요한 건 4장이 되고, 높이는 500mm 남습니다, 석고보드 한장의 높이가 1,800mm이니 반을 나눠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 합니다.

그럼 길이의 경우에는 석고보드 2장이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총 6장이 있으면 길이가 3,000 높이 2,300mm 인 벽체의 한쪽면을 시공하는데 6장이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합지 구간과 STUD 및 목재 구간이 나누어 집니다. 1)합지의 경우 6장으로 설치가 가능 합니다. 하지만 STUD 및 목상의 경우에는 벽체의 경우 2P가 기본으로 설치를 하기에 나온 석고보드 장수에 곱하기 2를 하시면 됩니다.

용어설명 1) 합지= 단열재에 1장을 단열재를 본드로 붙이는 시공 법을 말합니다.

위의 방식으로 석고보드가 얼마만큼 들어가는지를 파악을 하시면 됩니다.

스터드 및 목재 산출 방법

석고보드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뼈대가 필요 합니다. STUD(스터드) 및 목재의 경우 석고보드 사이즈에 맞춰서 시공을 하게 됩니다. 석고보드 길이의 사이즈가 900이니 뼈대의 사이즈의 경우 450간격으로 설치를 하게 됩니다. 안 그러면 석고보드가 파손 우려가 있습니다.

중요한 건 석고보드 2장에 뼈대는 5개가 들어갑니다 이것도 좀 파악하기 어려우시면, 길이가 3,000벽체를 450mm으로 나누시면 필요한 수량이 나옵니다.

이렇게 2가지의 방법으로 산출을 하시면 자재 부분에서 충분히 다 산출하였습니다. 이제 노무비 품에 대해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노무비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에 1명이 할 수 있는 양이 있습니다. 단 현장의 여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말씀드리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노무비에는 설치비 외에도 운반비 현장정리비 등이 들어 갑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은 총공사에 노무비로 2명의 일당정도를 측정하시면 됩니다.

PS. 인테리어 견적을 받았을 때 요구사항 중 티비를 벽체 안으로 넣는 포인트를 추가를 한다고 하면 과다한 비용을 청구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량으로 확인을 해보면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다만 조각을 내야 하는 부분이 발생이 되는데 너무 과도하게 요구하시는 곳에서는 피하시기를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