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 바닥타일 공사 후 하자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한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최근 아파트 옵션으로도 많이 선택을 하는 거실 바닥타일 하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표적인 바닥 타일 하자로는 균열 및 타일 들뜸이 있습니다. 바닥 타일 하자는 왜 생기는 것이며 어떻게 보수를 해야하는지에 대해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인테리어를 하시는 분들은 미리 이러한 하자를 예방하는 방법까지도 같이 전달드리겠습니다.


바닥타일 썸네일

목차

  • 바닥타일 하자 발생원인
    • 바탕면불량
    • 접착제불량
  • 하자 보수하는 방법
    • 철거 후 재시공
    • 보강방법
  • 하자를 예방하는 시공방법
    • 타일을 붙이기전 나누기도를 꼼꼼히 체크 [계획]
    • 기존바닥 철거 후 바닥타일 시공하는 경우 [상황1]
    • 바닥을 철거하고 다시 타설하는 경우 [상황2]


바닥타일 하자 발생원인

바닥타일 하자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2가지 포인트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바로 바탕면불량 및 접착제불량에 대해서만 알고 계시면됩니다. 아래에서 원인에 대해서 전달드리겠습니다.

바탕면불량

바닥타일의 경우 바탕면의 불량으로인한 하자가 많이 발생을 합니다. 여기서 바탕면 불량이라고 하는건 바닥의 크랙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뜻합니다. 바닥에 크랙이 발생을 하게 되면 붙어 있는 타일도 같이 균열이 가기 때문입니다.

원인을 보면 강도가 가장 강한 바탕면은 바닥 몰탈(방통)에서 균열이 발생하면, 바닥과 딱 붙어 있는 타일의 강도가 바닥의 몰타보다 약하기 때문에 타일에 균열이 발생을 하게됩니다. 예를 들어보면 종이박스 위에 A4용지를 붙이고 종이 박스를 찢으면 붙어 있던 A4용지도 함께 찢어지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접착제불량

접착제가 불량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접착제가 불량인건 바닥의 방통을 타설하고 충분히 양생을 하지 않아 몰탈 안에 습기가 있는 경우가 있고, 또다른 이유로는 타일 및 바탕면에 따른 접착제가 사용되어야할 접착제가 있는데 이런 부분을 무시하고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을 합니다.

이렇게 접착 불량이 발생을 하게 되면 한쪽 타일은 들뜨게 되고 타일 줄눈의 크랙 및 타일이 들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바닥타일 하자 보수방법

바닥 타일을 보수하는 방법으로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하나는 철거 후 재시공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보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철거 후 재시공

바닥 타일을 철거 후 재시공을 해야하는 경우는 타일 자체에 문제가 발생 하였을 경우 입니다. 이떄는 무조건 타일으 탈거한 후 새로운 타일로 교체를 해야합니다.

이때 바닥에 있는 접착제를 제대로 제거하고 난 후 새로운 타일을 붙이기 위한 접착제 시공후 붙여야 합니다. 기존에 접착제를 무조건 제거를 하셔야합니다.

보강방법

바닥타일 상태는 멀쩡하지만 타일이 들떠 있는 경우에는 에폭시 본드 주입 공법으로도 붙일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을 쓸때에는 몇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기존에 바닥타일이 없는 경우, 또한 타일 이색에 대해서 민감하시다면 보강해서 쓰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보강하는 방법은 줄눈 부위에 에폭시 주입을 하는 구멍을 만들어 에폭시를 주입하여 타일이 들떠있는 부분을 채워서 잡아주는 방법 입니다.



바닥타일 하자예방하는 시공법

하자를 예방하는 시공 방법은 위에 타일 불량 사항들을 잘 체크를 하시면 됩니다 라고 말씀을 드린다면 너무 무책임 하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의 2가지 상황에 대해 하자예방 하는 방법 및 계획단계에서 체크해야할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타일을 붙이기전 나누기도를 꼼꼼히 체크 [계획]

타일 나누기도라는 용어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타일 나누기 도면이란 타일을 시공 부위에 평면도에 타일의 규격을 맞춰서 그리는 도면을 뜻합니다. 다만 나누기 도면에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모서리 부분을 타일 시작 포인트(Working Piont)로 기준을 두고 나누기도면을 그리시고 눈에 잘보이는 곳은 될수 있으면 타일 온전한 규격이 나오도록 배치를 하고, 잘리는 타일의 경우에는 눈에 잘 안보이는 곳으로 배치를 하시기 바랍니다.

기존 바닥마감 철거 후 바닥타일 시공하는 경우 [상황1]

기존 바닥마감을 하기 위한 접착제가 충분히 제거가 되었는지를 확인 하셔야 합니다. 접착제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다고하면 나중에 그 부분에서 들뜸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마루 본드 디럭스타일 본드가 이부분에 해당됩니다.

바닥타일 시공전 본드 제거 및 바탕정리된 사진
바닥타일 시공하기전 본드 제거 및 바탕정리 완료된 사진



바닥을 철거하고 다시 타설하는 경우 [상황2]

바닥 몰탈(방통)을 타설하기 전에 모서리 부분에 보강재를 설치 해주셔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모서리는 벽체가 돌출 되어 있는 부분에 미장용 크랙 방지 보강철물을 설치를 꼭 하시기 바랍니다. 보통의 바닥 크랙의 경우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을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바탕이 튼튼해야 타일이 튼튼합니다!

바닥타일 시공전 방통 모서리 부분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 설치 사진
방통 크랙 방지 자재 설치 사진

바닥타일 시공전 자재 선택 및 시공시 주요 포인트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 싶은신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