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배공사 누구도 알려주지 않은 고급정보를 전달해드립니다.

예전부터 부동산에서 집을 보러가면 부동산 사장님이 당당하게 이런 이야기를 많이 하셨는데요 바로 “그 집은 도배 장판 새로 싹 해준다고 하네요” 좀 익숙하시죠? 아직도 그렇게 이야기를 많이 해주기는 합니다. 집수리의 대표주자인 도배공사의 순서부터 비용을 산정하는 방법까지 한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배공사의 순서는 바탕면정리, 초배, 정배 순으로 진행이 됩니다. 여기서 하나씩 포인트를 잡아가면서 전달드리겠습니다.


도배공사 썸네일

목차

  • 도배공사 궁금한 공사 순서
    • 벽 시공 후 천정시공? 아님 천정시공 후 벽시공?
  • 도배공사 순서에 따른 용어정리 및 포인트
  • 도배공사 비용 산출 방법


도배공사 궁금한 공사 순서

도배공사 바탕정리, 초배, 정배와 같은 일반적인 순서가 아닌 좀 다른 부분을 이야기 드릴려고합니다. 벽부터 할것인지? 아니면 천정부터 시공하는게 합리적인지에 대해서 전달드릴려고 합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요점을 먼저 말씀드리면 바탕정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도배공사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벽 시공 후 천정시공? 아님 천정시공 후 벽시공?

도배공사를 하면서 벽부터 시공해야 좋을지? 아니면 천정부터 시공해야 좋을지? 정말 고민입니다. 한번에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천정부터 작업을 하고 다음 벽체입니다. 벽체 중에서도 긴벽면 부터 시공을 하고 그 이후 짧은 벽면을 시공하는게 가장 이상적인 순서입니다. 그 이후 출입구 맞은편을 시공하고 제일 마지막으로 출입구 쪽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해야합니다.

천정부터 시공을 하는 이유는 면적이 제일 넓고 벽체를 시공하고 난 후에 천정을 시공하면 벽체에 풀이 붙어 먼지에 때문에 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벽중에서 긴벽부터하는 이유는 세세한 작업을 하다보면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그래서 크게크게 일을 처리를 한 후에 디테일한 부분을 시공해야 시간과 정밀도에 있어서 좋습니다.




도배공사 시공 및 관리포인트

도배 시공 순서 및 공사 관리포인트에 대해서 자세하게 작성한 포스팅이 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한번 살짝 보면 도배공사에 대한 모드건 이해가 가능합니다.


도배공사 비용 산출 방법

시공방법을 알면 인건비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바로 표준 품셈을 적용해서 인건비를 구하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도배공사 표준품셈을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품셈을 확인 하셨다면 이제 인건비를 구하는 공식 알려드리겠습니다.

도배공사의 품셈을 보면 0.024 이고 보통인부는 0.006 입니다. 또한 도배 작업하는 인건비의 평균은 211,861원 입니다.

아래 구하는 공식은 봉투바름 시공을 기준으로 한 공사비 산정 방법 입니다.

표준품셈으로 단순하게 금액의 기준을 알 수도 있지만, 다른 것도 알아 볼수 있습니다. 기간 및 작업자가 일을 잘하는지 못하는지도 확인이 가능 합니다. 어처구니 없다고 생각이 드실텐데요 하나씩 이해가 되도록 설명 드릴께요

도배하러 오신분들이 하루에 41.66m2 시공을 한다면 도배작업 평균인건비 정도를 하신겁니다. 하지만 이것보다 많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바로 이걸 기준으로 일의 숙련도가 있다 없다를 판단 해도됩니다.(막하는것 말고 일을 깔끔하게 하면서 빠르게 하는것을 말합니다)

또한 기간을 잡을 시에도 쓸수 있습니다. 한사람이 41.66m2을 시공한다고 하면, 우리집 도배하는 면적이 150m2 라고 하면 총 작업 기간은 (기능공 1명 + 도와주는분 1명) 하면 3일이라는 시간이 걸리게 되구요, 기능공 2명 + 도와주는분 1명이면 2일이면 공사가 마무리 되겠다 이렇게 일정을 확인 하시는 겁니다!

인테리어 계획하시는 분들이라면 대충 일정을 잡는게 아니라 이렇게 물량산출을 통해서도 근거있는 데이터를 만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